지기넷에서 퍼온 자료입니다.

인터넷을 검색해도, PPC 를 에뮬레이터를 돌리전까지 과정이 상세히 나온게 거의 없더군요.
저도 검색끝에 이거 하나 발견했네요. 다른분께 도움이 되면 좋겠네요.
참고로 원출처를 찾아가 허락을 맡으려했는데 , 어디에 있던 글인지 도저히 못찾겠더군요.
문제가 되면 원저작자는 말씀해주세요~

===========================================

출처 : www.propoz.co.kr

안녕하세요. Lucy입니다.

예전에 투데이스피피시에서 간단한 개발 강좌를 부탁하시기에 어떤 것을 가지고 강좌를 할까 고민을 하다가, 그래도 도움이 되는 것을 해보자해서 Windows Mobile 2003과 2003 SE를 위한 공용 텍스트 리더 어플리케이션을 단계별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중요한 부분을 체크해 가는 방식으로 간단히 강좌를 진행하다가, 개인적인 사정으로 중단된 바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에서 다시 해당 강좌를 연재하려고 합니다.

먼저 많은 분들이 질문하시는 것들 중에 하나가 PC에서는 Visual Basic, Visual C++, Delphi 등 다양한 개발 도구들이 있는데, Pocket PC에서는 어떤 개발 도구를 쓰느냐 하는 질문입니다.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이 첫 회의 주된 내용이 될 듯 하네요.

Pocket PC에서는 다양하다고는 할 수 없지만, 몇몇 개발 도구들이 있습니다. 주로 PC에서 개발해서 Pocket PC에서 실행하는 것이 정석입니다만, 간혹 Pocket C#와 같이 Pocket PC 상에서 직접 작성해서 컴파일하는 도구들도 준비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도구들은 본격적인 개발을 위한 것이라기 보다는 간단한 테스트를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강좌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도구인 Microsoft eMbedded Visual C++ 4.0 Service Pack 4 + Microsoft Windows Mobile 2003 SDK + 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을 사용하여 개발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물론 .NET Compact Framework를 이용하여 Managed Code로 작업할 수도 있겠지만, 이 강좌에서는 Native Code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개발을 진행하기 전에 이 강좌를 보시려면 다음의 조건이 어느 정도는 충족되어 있어야 합니다.

1. 개발에 관심이 있어서 관련 서적을 사서 보거나 빌려볼 수 있을 정도의 열정

아래 조건은 필수 조건은 아닙니다만, 없으면 귀찮아지는 것들입니다.

1. 개발에 필요한 수준의 영어 실력 (ㅡ_ㅡ 개발 문서가 전부 영문입니다.)
2. C++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심층 분석까지 갈 필요는 없습니다.)
3. MFC/API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심층 분석까지 갈 필요는 없습니다.)
4. Windows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개발 도구 준비하기

Pocket PC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진행하기 위해서 먼저 개발 도구를 준비하셔야 겠지요. Pocket PC는 작지만, 그 위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먼저 PC의 운영 체제Windows 2000 Service Pack 2 이상, 혹은 Windows XP Service Pack 1 이상이어야만 합니다. Windows Server 2003에서도 개발을 진행할 수는 있습니다만, 상대적으로 귀찮은 부분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 권하는 것은 Windows XP Professional Service Pack 2입니다. (Service Pack 2는 굳이 없어도 되겠지만요.)

운영 체제의 요건이 충족된다면 개발 도구를 준비하셔야 합니다.

Pocket PC의 개발 도구는 VS.NET에 연동되어 있는 SDE(Smart Device Extension)를 제외하면 모두 무료로 배포되며, 마이크로소프트의 Pocket PC 개발자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 환경에 맞추어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Microsoft eMbedded Visual C++ 4.0 (다운로드 페이지) - 영문 버전

CD Key는 다음과 같습니다.

   TRT7H-KD36T-FRH8D-6QH8P-VFJHQ

2. Microsft eMbedded Visual C++ 4.0 SP4 (다운로드 페이지) - 영문 버전

3. Microsoft SDK for Windows Mobile 2003-based Pocket PCs (다운로드 페이지) - 영문 버전

4. 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 (다운로드 페이지)

5. 한글 Pocket PC 2003 Emulator Image (다운로드)

6. 영문 Pocket PC 2003 SE Emulator Image (다운로드 페이지)

7. 한글 Pocket PC 2003 SE Emulator Image (다운로드)

8. Run-time Type Information Library for the Windows Mobile-based Pocket PC 2003 SDK (다운로드)

위의 항목들을 순서대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자세한 설치 방법과 설정 방법은 2회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지루한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첫 번째 강좌를 올려드린 이후에 바쁜 일정으로 인해 꽤 오랫동안 강좌를 못한 점 진심으로 사과 드립니다. 이번에는 지난 시간에 이어 설치 부분을 계속 진행하기로 하겠습니다.

개발 도구라는 특성 상 단순히 설치 만으로 설정이 종료되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처음에 설치에 대해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설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강좌의 설정 부분만 잘 숙지하시면 보다 쾌적한 개발 환경을 만끽하실 수 있습니다. 이 강좌의 내용대로 설정을 진행하시면 다음의 환경에 맞는 개발이 가능하게 됩니다.

- 영문 Pocket PC 2003
- 한글 Pocket PC 2003
- 영문 Pocket PC 2003 Second Edition
- 한글 Pocket PC 2003 Second Edition

물론 이를 응용하시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등의 시스템에 맞는 개발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귀찮은 설정 작업을 해야한다는 점만 제외하면 어려운 것은 아니므로, 순서대로만 따라하시면 무리없이 설정을 끝내실 수 있습니다.


1. eMbedded Visual C++ 4.0 설치

eMbedded Visual C++ 4.0(이하 eVC4)의 설치는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 설치와 같은 방식으로 설치가 진행되며, 마법사 형식(Next 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설치가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CD를 가지고 있지 않으신 분들은 Microsoft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한 압축 자동 해제 파일 형태로 가지고 계실 텐데, 처음 설치 경로는 여러분의 계정 아래의 임시 폴더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반드시 경로를 C:\setupevc 등으로 바뀌주시기 바랍니다. 그러지 않으면 설치 파일과 임시 파일들이 한데 섞여 설치가 곤란하게 됩니다. 압축을 다 푸셨으면 C:\setupevc\setup.exe 파일을 실행하셔서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프로그램은 eVC를 설치하기 전에 Platform Builder 4.0을 설치하게 되는데, 아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재부팅을 요구하게 됩니다. 이 때 재부팅을 하지 않으면 설치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재부팅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재부팅 후 설치 프로그램인 setup.exe를 다시 실행하시면 설치가 그 이후부터 계속 진행됩니다.

설치를 진행하다 보면 설치할 항목을 선택하게 되는데, Standard SDK는 설치하실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해당 선택 상자를 지워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끝나면 아까 생성되었던 C:\setupevc 폴더는 삭제하셔도 관계 없습니다.


2. eMbedded Visual C++ 4.0 Service Pack 4 설치

eMbedded Visual C++ 4.0 Service Pack 4(이하 SP4)의 설치는 eVC와 비슷하지만 훨씬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설치 방법은 마찬가지로 압축 해제를 통해 진행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도 가능하면 별도의 폴더를 만들어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SP4는 압축이 풀린 후에 자동으로 설치가 진행되므로 이 점만 유의하시면 됩니다.


3. Microsoft SDK for Windows Mobile 2003-based Pocket PCs 설치

Microsoft SDK for Windows Mobile 2003-based Pocket PCs(이하 PPC2003 SDK)의 설치는 Microsoft Installer(이하 MSI)를 이용하여 설치가 이루어지며, 별도의 설정 변경 없이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4. 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 설치

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이하 DevResSE)의 설치 역시 MSI를 이용한 설치 작업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후 설정 작업을 해 주어야 하지만, 이 부분은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한꺼번에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5. 한글 Pocket PC 2003 Emulator Image 외의 에뮬레이터 이미지들 설치

에뮬레이터 이미지들 역시 MSI로 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과 같이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설치 후 설정 작업을 해 주어야 하지만, 이 부분은 제일 마지막 단계에서 한꺼번에 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6. Run-time Type Information Library for the Windows Mobile-based Pocket PC 2003 SDK 설치

Run-time Type Information Library for the Windows Mobile-based Pocket PC 2003 SDK(이하 RTTI)는 eVC에서 try=catch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라이브러리입니다.

설치 위치를 C:\RTTI로 지정하신 후 압축을 해제하시면 됩니다.


7. 설정하기

지금부터 지루한 설정 작업이 진행됩니다.

7-1. 폴더 지정하기

먼저 eVC를 실행합니다. 시작-프로그램-Microsoft eMbedded Visual C++ 4.0-eMbedded Visual C++ 4.0을 클릭하면 됩니다.

eVC가 실행되면, 먼저 Tools-Options를 선택합니다. Options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Directories 탭을 선택합니다.

Platform은 POCKET PC 2003을 지정하고, CPUs에서 Win32 (WCE emulator)를 지정하고, Show Directories에서 Include files를 선택합니다.

리스트의 제일 아래 빈 박스 부분을 더블 클릭하면 새 폴더를 지정할 수 있는데, ... 버튼을 눌러 폴더 선택 대화 상자를 엽니다. C:\PROGRAM FILES\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INC\POCKET PC 폴더를 선택하신 후, 해당 라인을 제일 위로 올립니다. 위로 올릴 때는 위쪽 화살표 아이콘을 눌러주면 됩니다.

이제 다시 Show Directories에서 Library files를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C:\PROGRAM FILES\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LIB\POCKET PC\X86를 추가하고 제일 위로 올립니다.

이제 CPUs를 Win32 (WCE ARMV4)로 변경하신 후 Include files에는 C:\PROGRAM FILES\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INC\POCKET PC 폴더를 추가하시고, Library files에는 C:\PROGRAM FILES\DEVELOPER RESOURCES FOR WINDOWS MOBILE 2003 SECOND EDITION\LIB\POCKET PC\ARM을 추가합니다.

7-2. 에뮬레이터 등록하기

기본적으로 여기까지 진행하시면 영문 Pocket PC 2003 에뮬레이터와 디바이스만 등록이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한글 Pocket PC 2003과 SE 에뮬레이터를 사용하려면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합니다.

eVC가 실행된 상태에서 Tools-Configure Platform Manager를 선택합니다. POCKET PC 2003 아래에 POCKET PC 2003 Device와 Pocket PC 2003 Emulator가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디바이스를 등록하기 위해 Add Device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New Device 항목이 생성되는데, 이름은 나중에 지정해도 되니 일단 그대로 놔둡니다.

New Device가 선택된 상태에서 Properties 버튼을 클릭하면 디바이스 프로퍼티 대화 상자가 나타나는데, Transport는 TCP/IP Transport for Windows CE를 선택합니다. Startup Server는 Emulator Startup Server를 선택합니다.

Startup Server의 옆에 있는 Configure 버튼을 클릭하면 Emulation Configuration Settings 대화 상자가 나타납니다. Device의 Image에서는 연결할 에뮬레이터 이미지를 지정합니다. 한글판 Pocket PC 2003을 선택하기 위해 KOR POCKET PC 2003을 선택합니다. 이 항목이 없다면 5. 의 에뮬레이터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지 않은 것이므로 다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나머지 부분은 건드리실 필요가 없으며, OK 버튼을 클릭하면 1차적으로 이미지 지정이 끝납니다.

이미지의 지정이 끝났다면 하단의 Test 버튼을 클릭해 봅니다. 에뮬레이터가 실행되고, 한글판 Pocket PC가 나타난다면 정상적으로 지정이 된 것입니다. OK 버튼을 눌러 설정을 완료합니다. 테스트를 하지 않았다면 테스트를 하지 않았다는 경고 대화 상자가 나타나므로 가급적이면 테스트를 거칠 것을 권합니다.

New Device의 이름을 변경하려면 해당 이름 위에서 클릭을 두 번 해주면 됩니다. 더블 클릭을 하면 설정 대화 상자가 열리므로 더블 클릭을 하면 안 됩니다. 이름은 POCKET PC 2003 Kor Emulator 정도로 바꿔줍니다. Korean Pocket PC 2003 Emulator로 할 수는 있지만, 나중에 에뮬레이터를 선택할 때 정신이 없으므로 가능하면 형태를 기본과 맞춰 주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SE의 에뮬레이터도 지정을 해 주면 됩니다. Radio 관련 에뮬레이터는 일반적인 경우 지정할 필요가 없으며, SE는 언어별로 다음의 4가지 이미지만 설정하면 됩니다. (영문/한글을 지정할 경우 4 X 2 = 8개의 이미지를 지정해야 합니다.)

SE Emulator - 240x320 모드
SE Landscape Emulator - 320x240 모드
SE VGA Emulator - 480x640 모드
SE Landscape Emulator - 640x480 모드

7-3. RTTI 설정하기

eVC4를 종료하고, 아까 RTTI를 설치했던 폴더(C:\RTTI)로 갑니다. 안에는 Armv4 폴더와 emulator 폴더의 파일들, 그리고 EULA.txt 파일이 있습니다. 해당 파일과 폴더들을 전부 선택한 후 (폴더대로 선택해야 합니다.) C:\Program Files\Windows CE Tools\wce420\POCKET PC 2003\Lib 폴더에 복사하거나 옮깁니다.

Lib 폴더 안에도 Armv4 폴더와 emulator 폴더가 있으며, 각각의 파일들이 올바른 폴더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


이로서 개발 도구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전부 다 마치면 대략 2시간 정도 걸립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출처 : Devpia

VB2005 Beta 2로 공부를 시작한 초보입니다.

Picturebox에서 그림을 그렸는데 Auto redraw 기능이 없어서 정상적으로 그림이 보이지 않더군요.

그림을 처음 그렸을 때는 보이지 않다가 창을 움직이면 보이고,

최대창이나 최소창으로 하면 또 안보이고...

VB6에서 처럼 Auto redraw 기능을 구현할 수 없는지요?

=============================================================================

제목을 보시면 무슨 이야기 인가 하실수도 있으실텐데요

   

닷넷에서는 옛날과는 달리 그래픽 작업을 직접 개체에 하지 않아도 됩니다. 그것은 매우 유용한 일이 되는것이죠~~

   

닷넷에서는 Bitmap이라는 클래스를 지원을 합니다. 그래픽 작업을 하실때 유용한 클래스 인데요

   

이곳에 직접 그래픽을 생성해서 넣고 그것을 픽쳐 박스의 image로 연결을 하시면 Autoredraw없이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정희 AutoRedraw기능을 구현하고 싶으시면 Paint이벤트의 Graphics개체를 이용하여 코딩을 하시면 되는데...

   

그것보다는 위의 방식을 사용하시는것이 좀더 쉬우실겁니다.

   

Bitmap을 사용하는 간단한 예제를 드리자고 하면

   

Private oImage As New Bitmap(500, 500)

Private oGraphics As Graphics = Graphics.FromImage(oImage)

   

위와같이 선언을 하시고요

   

PircutBox.Image = oImage 라고 연결후 oGraphics변수로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사용방법은 PicturBox에서 그림 그리시는것과 같으니까 쉬우실 겁니다.

물론 새로운 작업을 oGraphics변수로 작업을 하시면 물론 PicturBox에서 표시가 됩니다. 사이즈 조정으로 화면이 없어지거나 하지도 않고요

저장 하실때도 편리 하실겁니다.

   

아래는 간단한 예제입니다. 참고하세요~~

   

    Private oImage As New Bitmap(500, 500)

    Private oGraphics As Graphics = Graphics.FromImage(oImage)

   

    Private Sub Form_Load(ByVal sender As System.Object, ByVal e As System.EventArgs) Handles MyBase.Load

        '예제이기 때문에 폼에 코드만 넣어도 실행될수 있도록 동적으로 컨트롤 생성한겁니다.

        Dim picBitmapEx As New PictureBox

        Dim btnBitmapEx As New Button

        With picBitmapEx

            .Name = "picBitmapEx"

            .Dock = DockStyle.Fill

            .Visible = True

            '위에 선언한 Bitmap클래스를 Image로 설정합니다.

            .Image = oImage

        End With

        With btnBitmapEx

            .Name = "btnBitmapEx"

            .Text = "이미지 생성"

            .Width = 200

            .Visible = True

        End With

        AddHandler btnBitmapEx.Click, AddressOf Me.Button_Click

        Me.Controls.Add(btnBitmapEx)

        Me.Controls.Add(picBitmapEx)

    End Sub

   

    '동적으로 생성한 버튼을 클릭했을때 그리드를 그립니다.

    Private Sub Button_Click(ByVal sender As System.Object, ByVal e As System.EventArgs)

        Dim pen As Pen = New Pen(System.Drawing.Color.DimGray, 2)

        Dim Rect As Rectangle = New Rectangle(40, 70, 400, 180)

        ' 모눈종이 눈금 그리기(y축)

        For x As Integer = 40 To 440 Step 10

            oGraphics.DrawLine(New Pen(Color.DarkGray, 1), x, 70, x, 250)

        Next x

   

        '모눈종이 눈금 그리기(x축)

        For y As Integer = 70 To 250 Step 10

            oGraphics.DrawLine(New Pen(Color.DarkGray, 1), 40, y, 440, y)

        Next y

        '동적 생성한 컨트롤이기에 이 부분이 필요함

        Me.Refresh()

    End Sub

   

예제 만드는 것보다 파랑칠 하는게 더 어렵죠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1 MIO168 22p 커넥터 핀배열 #

No. Name Descriptions
1 GND Ground
2 USB- USB port signal : slave or Host
3 USB+ USB port signal : slave or Host
4 GND Ground
5 USB_CABLE_DET USB cable detection
6 RXD Full UART RX signal from MAX3243
7 CTS# Full UART CTS signal from MAX3243
8 DSR# Full UART DSR signal from MAX3243
9 DCD# Full UART DCD signal from MAX3243
10 TXD Full UART TX signal from MAX3243
11 RTS# Full UART RTS signal from MAX3243
12 DTR# Full UART DTR signal from MAX3243
13 GND Ground
14 GND Ground
15 NC No Connect. Do Not Use
16 SYSTEM_ON
17 CHARGE_LED#
18 DETECTION LED control or 802.11 detect
19 VCC_CRADLE Power input
20 VCC_CRADLE Power input
21 VCC_CRADLE Power input
22 VCC_CRADLE Power input

2 아이팩 22p 커넥터 핀배열 #

; 아이팩 3800 이후의 전모델(iPAQ 17XX,37XX,38XX,39XX,41XX,55XX.. etc) 기종의 22핀에 해당됩니다.
http://www.todaysppc.com/zb41/data/userreview/3900_4.jpg
Pin out 22 Pin Cradle Connector iPAQ side
No. Name Descriptions
1번 V_ADP AC adapter power in
2번 V_ADP AC adapter power in
3번 V_ADP AC adapter power in
4번 V_ADP AC adapter power in
5번 Reserved
6번 DCD RS-232 Data Carry Detect
7번 RXD RS-232 Receive Data (from the SA-1110)
8번 TXD RS-232 Transmit Data (from the SA-1110)
9번 DTR RS-232 Data Terminal Ready
10번 GND Power ground
11번 DSR RS-232 Data set Ready
12번 RTS RS-232 Request To Send
13번 CTS RS-232 Clear To Send
14번 RI RS-232 Ring
15번 GND Power ground
16번 No Connect Do Not Use
17번 USB Detect + 5 Volt
18번 No Connect Do Not Use
19번 USB + USB positive data signal
20번 No Connect Do Not Use
21번 USB - USB negative data signal
22번 GND Power ground
Shell tied to GND

3 아이팩 12p 커넥터 핀배열 #

; 아이팩 36xx 모델에만 해당합니다. 아이팩중 36xx 아닌건 모두 22핀입니다.
No. Name Descriptions
1 V_ADP AC adapter power in +
2 V_ADP AC adapter power in +
3 DTR RS-232 Data Terminal Ready
4 GND Power ground Masa
5 CTS RS-232 Clear To Send
6 RTS RS-232 Request To Send
7 TXD RS-232 Transmit Data (from the SA-1110)
8 RXD RS-232 Receive Data (from the SA-1110)
9 DCD RS-232 Data Carry Detect
10 GND Power ground Masa
11 UDC_P USB positive data signal
12 USB_N USB negative data signal

4 정통부 24p 커넥터 핀배열 #

; RW-6100, SC-8000, X-301,310 등 신형 PDA폰 대부분에 적용.

핀번

입출력구분

비고

1 입력신호 충전
2 입력신호 3v신호
3 출려신호 데이터통신
4 전원(power +5.0v) 충전
5 전원(power +5.0v) 충전
6 입력신호 3v신호
7 입력신호 평균100mv/1khz
8 출력신호 선택/디지털핸즈프리
9 출력신호 선택/디지털핸즈프리
10 입력신호 선택/usb
11 출력신호 평균100mv/1khz
12 전원(power ground) 충전
13 입력신호 데이터통신
14 출력신호 데이터통신
15 출력신호 선택/usb
16 전원(usb power) usb전원입력
17 출력신호 데이터통신
18 출력신호 데이터통신
19 전원(power ground) 충전
20 출력신호 데이터통신
21 전원(power +4.2v) 충전/단말기로부터전원공급
22 전원(power +4.2v) 충전/단말기로부터전원공급
23 입력신호 데이터통신
24 입력신호 데이터통신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Microsoft SQL Server 2005 Mobile Edition(SQL Server Mobile)에는 sqlce30.[platform].[processor].cab,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 및 .sqlce30.dev.[platform].[processor].cab의 세 가지 .cab 파일이 있습니다. 다음 표는 세 .cab 파일을 구성하는 DLL에 대한 설명입니다. 특정 .cab 파일이 필요한 시나리오도 함께 설명되어 있습니다.

sqlce30.[platform].[processor].cab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

sqlce30.[platform].[processor].cab에는 다음 DLL이 있습니다.

  • sqlcese30.dll
  • sqlceqp30.dll
  • sqlceme30.dll
  • System.Data.SqlServerCe.dll

저장소 엔진 및 쿼리 프로세서 기능만을 사용하여 SQL Server Mobile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경우 이 DLL이 모두 필요합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SmartDevices\SDK\SQL Server\Mobile\v3.0\platform\processor 아래에 설치된 DLL을 자체 설치 프로그램에 패키지로 만들거나, 해당 장치에 sqlce30.[platform].[processor].cab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에는 다음 DLL이 있습니다.

  • sqlceca30.dll
  • sqlcecompact30.dll
  • sqlceoledb30.dll

병합 복제 또는 RDA(Remote Data Access)를 사용하려면 sqlce30.[platform].[processor].cab에 포함된 DLL 외에 위 3개의 DLL이 필요합니다.

SDK 디렉터리에 제공된 DLL을 패키지로 만들거나,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 파일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sqlce30.repl.[platform].[processor].cab에는 다음 DLL이 있습니다.

  • sqlceer30[lang].dll
  • isqlw30.exe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 및 테스트하려면 SQL Server Mobile 오류 메시지와 쿼리 분석기가 포함된 이 .cab 파일을 설치합니다.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HOW TO: Determine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Applies to:
   Microsoft® .NET Compact Framework 1.0
   Microsoft® Visual Studio® .NET 2003

IN THIS TASK

SUMMARY

    Determine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VB)

    Determine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C#)

REFERENCES

SUMMARY

Learn how to determine the path of the currently executing application. In Embedded Visual Basic, the executing application path would be available through App.Path property.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can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executing assembly's AssemblyName object, which fully describes the assembly's identity.

Determine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VB)

  1. Start Microsoft Visual Studio .NET.
  2. Create a new Visual Basic Smart Device Application project named AppPath.
  3. In the Smart Application Wizard, select the Pocket PC platform and Windows Application project type.
  4. Add a Button control to the form. The button is named Button1 by default.
  5. Right-click the form, and then click View Code.
  6. Add the following Click event handler for Button1:

Private Sub Button1_Click(ByVal sender As System.Object, ByVal e As _
System.EventArgs) Handles Button1.Click  
Dim path As String  
path = System.IO.Path.GetDirectoryName( _      
System.Reflection.Assembly.GetExecutingAssembly().GetName().CodeBase)
MessageBox.Show(path)
End Sub

Determine the Executing Application's Path (C#)

  1. Start Microsoft Visual Studio .NET.
  2. Create a new Visual C# Smart Device Application project named AppPath.
  3. In the Smart Application Wizard, select the Pocket PC platform and Windows Application project type.
  4. Add a Button control to the form. The button is named button1 by default.
  5. Double click button1 to create a Click event handler
  6. Add the following code to the event handler: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System.EventArgs e){   
    string path;
    path = System.IO.Path.GetDirectoryName(
    System.Reflection.Assembly.GetExecutingAssembly().
    GetName().CodeBase );
    MessageBox.Show( path );
    }

REFERENCES

The Visual Studio .NET 2003 online help.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Where's my App.Path in VB.NET?


ID: 1064
Author: Abstractvb.com
Date: 9/15/2002 12:59:10 PM
VB.NET

Description

The APP Object no longer exists in VB.NET, so calling App.Path to get the location of your application does not work. Thankfully there are many other ways to do this in VB.NET, here are a few.

NOTE: Some of these will only work for forms and not DLL's without any UI. The first two that reference the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ll not work in a DLL with no UI.

Code

Here are a few examples: (I'm sure there are more.)

System.Windows.Forms.Application.ExecutablePath
System.Windows.Forms.Application.StartupPath
System.AppDomain.CurrentDomain.BaseDirectory()
System.GetEntryAssembly().Location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선언부
   Public cnDataFile As InTheHand.AdoceNet.Connection
   Friend rsTables As InTheHand.AdoceNet.Recordset
'============================= adoce3.1이 깔려있는지 확인
       Try
           cnDataFile = New InTheHand.AdoceNet.Connection
       Catch ex As TypeLoadException
           MessageBox.Show("Error: ADOCE 3.1 is not installed on your device.")
           'close the application
           Application.Exit()
       End Try

'=================================DB가 열려있으면 닫아주는 부분
       'if the connection is open, close it first
       If cnDataFile.State = ConnectionState.Open Then
           cnDataFile.Close()
       End If

'=================================DB경로 설정하여 Open
       cnDataFile.Open("\Program Files\SmartDeviceApplication3\address.cdb")

'=================================Open recordset
       'open recordset to MSysTables table
       rsTables = New InTheHand.AdoceNet.Recordset
       rsTables.Open(ComboBox3.SelectedItem, cnDataFile)

       'loop while there are still records
       While Not rsTables.EOF

           If [조건] Then
               [어쩌구 저쩌구]
           End If

           rsTables.MoveNext()
       End While

'=============================== Close recordset
       rsTables.Close()
       cnDataFile.Close()

Posted by 인생을설계하는 프로그래머
이전페이지 1 다음페이지